산부인과 병원에서 피검사만으로 폐경여부와 갑상선검사결과를 알아볼수있었다. 의사선생님은 호르몬약을 권하신다
이유는
100세 시대 사는거라서.
4대보험에서 약값해주는 나라없다면서.
또 젊게 살게 된다고 하는게 이유.
별로 와닫지않는이유였다.
그래도 의사쌤 말씀인지라 고민이된다.
궁금해서 찾아 검색도 해보고 지인들에게도 물어보고있는중에 아래 글을 읽어보게되었다.
폐경 후 호르몬 치료(호르몬 대체 요법, HRT)를 할지 여부는 개인의 건강 상태, 증상의 심각도, 가족력 등에 따라 다릅니다.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호르몬 치료(HRT)의 장점
✅ 갱년기 증상 완화 – 안면홍조, 야간 발한, 불면증, 우울감,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을 줄일 수 있음
✅ 골다공증 예방 – 폐경 후 뼈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
✅ 심혈관 건강 보호 가능성 – 일부 여성에서는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
호르몬 치료(HRT)의 단점 및 부작용
⚠ 유방암, 자궁내막암 위험 증가 가능성 – 특히 장기 복용 시 주의 필요
⚠ 혈전증, 뇌졸중 위험 증가 가능성 – 개인의 기저질환에 따라 위험 증가
⚠ 체중 증가, 유방 압통, 부종 등의 부작용
☆☆☆☆부작용이
생각보다 무섭다 이러니 다들 약을 안먹으려고하는데 왜 의사쌤들은 권하시는건가? 의문스럽다.
HRT가 권장되는 경우
✔ 갱년기 증상이 심해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
✔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경우
✔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경우
HRT가 주의가 필요한 경우
❌ 유방암, 자궁내막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
❌ 혈전증,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
❌ 간 질환이 있는 경우
대체 방법 (호르몬 치료를 원하지 않을 때)
✅ 식습관 개선 – 칼슘, 비타민D, 단백질 섭취 증가
✅ 운동 – 근력 운동, 유산소 운동으로 골밀도 유지
✅ 약물 치료 – 골다공증 예방 약물, 식물성 에스트로겐(이소플라본) 복용
결론적으로, HRT가 모든 여성에게 필수는 아니며,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춰 결정해야 합니다.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 후 본인의 몸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'고봉이의 학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학부모 누리단은 어떤 활동을 하는지 (0) | 2025.04.03 |
---|---|
관리사무소에서과장을 무시하면 (0) | 2025.03.27 |
지적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좋아하는것 (0) | 2025.03.23 |
지적장애가 있는 중학생과 대화 (0) | 2025.03.23 |
폐경후 고혈압약 복용자 몸의변화에대해서 알고싶었다 (0) | 2025.03.23 |